파생상품
-
[금융경제] 파생상품 - 옵션(Option)__Data Analysis/교육 2021. 5. 31. 21:22
! 옵션 ! 옵션 vs 선물 ! 옵션이론가 = 내재가치 + 시간가치 ! 블랙숄즈 방정식 / 블랙숄즈 모형(Black–Scholes) : 옵션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. 즉, 옵션의 이론가를 구할 수 있다. 다음은 수업 중 진행한 샘플 데이터. 날짜를 동일날짜로 고정하고, 기초자산의 변동된"가격"에 따른 이론가를 계산한 결과다. - 날짜는 같은 날짜라 가정했기 때문에, 잔존만기일은 통일된 값이다. -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아니며, 단순히 기초자산이 올랐을때(또는 하락) 옵션의 가치를 확인하려는 게 목적이다. 상품의 내재가치는 상품의 가격이 오를 때 따질 수 있다. 즉 행사가인 330를 넘는 순간부터 내재가치가 상승하게 된다. 시간가치는 내재가치와 반비례(내재가치 상승-> 시간가치 하락) ( '시간가치..
-
[금융경제] 파생상품 - 선물(Futures)__Data Analysis/교육 2021. 5. 29. 03:20
! 선물이란? - 파생상품의 한 종류 - 미래의 일정한 시기에(만기일) 인도인수할 것을 약속하며, 현재 시점의 가격으로 거래하는 것 ! 이론가란? 선물의 이론적인 가격 이론가 = 지수가격 * exp[(이자율-배당률)*잔존일수/250(영업일)] 선물 상품의 이론가를 산출할 수 있다. !! 수업 중 만든 api에서 '오늘'의 값을 하루씩 변경해주며 날짜가 지날때마다 잔존일수가 -1이 되어야하는데, 반영이 되지 않아서 시작일의 잔존일수가 다음날짜 계산시에 그대로 들어갔다. [해결] 인덱스 값을 '오늘'의 날짜로 즉각 반영되도록 반복문을 돌렸다. [문제] 휴일이 없는 날을 골라 sample data로 만들었다. 그러나 실제 데이터를 계산할 때, busday_count가 우리나라 공휴일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을 것..